목록2025/02/23 (5)
redGen's story

이완기능 평가 Apical 4 chamber view에서 LV의 long axis 길이가 심장의 이완/수축에 따라 20% 정도 줄어드는 것이 정상이나, diastolic dysfunction이 있으면 별로 줄어들지 않는다. 2D image에서 육안적으로 disatolic dysfunction을 미리 평가하고, mitral inflow pattern, tissue-doppler imaging, TR Vmax 등을 통해 그 정도를 평가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이완기능 평가 3가지 ① mitral inflow pattern ② TR Vmax ③ LAVI (1) Mitral inflow pattern : 4chView에서 MV opening에서 PW, TDI에서 mitral valve의 septal base에서 ..

내 몸 혁명 박용우 저, 루미너스, 336쪽 비만은 '난치병'이다. 최선의 방법은 '예방'이다. 살이 찌기 시작하면 바로 치료에 돌입해 더 이상 체중이 늘지 않게 해야 한다. 많이 먹는 것은 비만의 원인이 아니라, 포만감을 주는 호르몬이 둔감해져 생기는 '증상'이다. 저칼로리 식단 → 체중 감소, 근육량 감소, 기초대사량 감소 → 요요현상 정제 탄수화물 섭취 → 인슐린 저항성 → 공복감 증가, 포만감 감소 → 식욕 증가 → 비만 대사증후군(① 허리둘레 남男≥90cm, 여女≥80cm, ② 혈압≥130/85mmHg, ③ 공복혈당≥100mg/dl, ④ 중성지방≥150mg/dl, ⑤ HDL 남男'대사이상이 없는 건강한 과체중'과 '정상체중을 가진 대사이상' 그룹 모두 비만 치료의 대상이다. 과체중이나, 대사증후..

딥 워크 칼 뉴포트 저, 김태훈 역, 민음사, 268쪽. 딥 워크 : 인지능력을 한계까지 밀어붙이는 완전한 집중의 상태에서 수행하는 직업적 활동. 딥 워크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능력을 향상시키며, 따라하기 어렵다. 나는 무료한 상태에 익숙하다. 신경제新經濟에서 특별한 우위를 누리는 집단 ① 지능형 기계를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람들, ② 해당 분야에서 최고의 능력을 지닌 사람들, ③ 자본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 신경제新經濟에서 성공하기 위한 두 가지 핵심 능력 : ① 어려운 일을 신속하게 습득하는 능력 ② 질과 속도 면에서 최고 수준의 성과를 올리는 능력 인지적으로 어려운 일을 습득하려면 구체적인 형태의 수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⑴ 향상시키려는 능력이나 습득하려는 사고에 주의를 집중..

당신 인생의 이야기 테드 창 저, 김상훈 역, 엘리, 448쪽. [ 바빌론의 탑 ] 하늘을 향해 끝없이 뻗은 탑. 수레꾼과 광부들은 하늘에 닿을 것을 기대하며 탑을 쌓아나갔고, 달과 해와 별들을 지나 마침내 하늘에 닿게 되었다. 하늘의 천장을 파들어가던 광부는 깨진 천장으로 쏟아지는 물에 휩쓸려 정신을 잃고 깨어났는데 그가 도착한 곳은, 땅이었다. 이 세상은 원통형의 모양을 하고 있었다. [ 이해 ] 뇌손상을 받은 환자들에게 투여되는, 뉴런치료제 '호르몬 K 요법'. 그 주사를 투여받은 리언 그레코. 그는 손상의 정도가 심해서 다른 사람에게 1차례 투여될 주사를 3차례 투여받고 비상할 정도로 명석해진다. 세상의 모든 구조를 이해하고 자율신경계까지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되었지만, 또 다른 호르몬 K 요법..

도파민 디톡스 애나 렘키 저, 고빛샘 역, 흐름출판, 200쪽. 즐거움을 주는 행위를 할 때 뇌는 보상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소량 분비하기 때문에 기분이 좋아진다. 하지만 뇌는 곧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도파민 수용체 수를 줄이거나 '하향 조절'하여 도파민 증가에 적응한다. 매일,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이러한 패턴을 유지하면 쾌락에 대한 뇌의 기준점이 바뀐다. 그땐 쾌락을 느끼기 위해서가 아니라 평범한 기분을 유지하기 위해 중독 행동을 계속해야 한다. 중독 행동을 중단하면 모든 중독 물질과 행동의 보편적인 금단 증상인 불안, 과민성, 불면증, 불쾌감과 다시 쾌락을 얻고 싶다는 집착, 즉 갈망을 경험한다. 쾌락을 끊임없이 추구하다 보면 어떤 쾌락도 느끼지 못하는 쾌락불감증에 빠진다. 반면 일정 기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