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redGen's story

(2020-33) 잡담 말고 스몰토크 [자기계발] (데브라 파인) 본문

Report of Book/자기계발

(2020-33) 잡담 말고 스몰토크 [자기계발] (데브라 파인)

재도담 2020. 8. 6. 12:27

잡담 말고 스몰토크 

데브라 파인 저, 김태승·김수민 역, 일월일일, 224쪽. 

모든 조건이 같다면 사람들은 기꺼이 친구의 물건을 산다. 하지만 모든 조건이 같지 않더라도 사람들은 친구의 물건을 산다. 
대화를 잘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상대에게 좋은 느낌을 준다. 또한 구매자가 돈을 쓸 때는 친밀한 관계에 따라 구매처를 결정한다. 스몰토크는 공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대화기술은 자신감을 높여주고 모르는 사람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준다. 사람들은 편안하고 기분 좋은 사람 곁으로 모여들기 마련이므로 친구가 많아지고, 리더십도 자연스럽게 강화된다. 

어색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는 질문 
1. 요즘 재미있는 영화가 뭐예요? 
2. 올 여름 휴가는 어땠어요? 
3. 비 오는 날에는 뭘 하며 지내요? 
4. 인생을 되돌릴 수 있다면 언제로 돌아가고 싶어요? 
5. 요즘 가장 갖고 싶은 물건이 있다면? 
6. 요즘 만나는 친구들 얘기 좀 해줄래요? 
7. 어렸을 때 살던 동네는 어땠어요? 
8. 다음 생에는 무엇으로 태어나고 싶어요? 
9. 아이들 얘기 좀 해줄래요? 
10. 인생에서 가장 좋은 나이는 몇 살일까요? 
11. 보통 하루를 어떻게 보내요? 
12. 지금 사는 곳은 어디에요? 
13. 어떤 계절을 좋아해요? 
14. 블로그나 홈페이지 있어요? 주소 좀 알려줄래요? 
15. 차 마시는 거 좋아해요? 
16. SNS를 자주 하는 편인가요? 
17. 존경하는 사람이 누구인가요? 
18. 기억에 남는 선생님이 있나요? 
19. 특별히 좋아하는 영화나 책이 있어요? 
20. 어떤 음식을 좋아해요? 
21. 이름이 무슨 뜻이에요? 
22. 가본 곳 중에서 가장 좋은 데는 어디인가요? 
23. 지금까지 받은 선물 중에서 최고의 선물은 뭐예요? 
24. 다른 사람에게 준 선물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게 있다면요? 
25. 스키 타는 거 좋아해요? 
26. 만약 당신 인생을 영화로 만든다면 주인공은 누가 좋을까요? 
27. 지금까지 만난 사람 중에 가장 유명한 사람은 누구예요? 
28. 새해에는 뭘 이루고 싶어요? 
29. 다음 파티에는 뭐 입을 거예요? 
30. 가족 얘기 좀 해줄래요? 
31. 특별히 좋아하는 노래가 있나요? 
32. 기억에 남는 음식이 있나요? 
33. 혼자 있을 때는 주로 뭘 하면서 지내요? 
34. 온라인 게임을 좋아해요? 
35. 지금 1억원이 생긴다면 뭘 하고 싶어요? 
36. 반려동물을 키우나요? 
37. 여행하는 거 좋아해요? 
38. 피아노는 언제부터 시작했어요? 
39. 요즘 미세먼지가 너무 심하죠? 
40. 요즘 최고의 관심사는 뭐예요? 

먼저 미소를 짓는 사람이 돼라. 그리고 그때는 반드시 상대의 눈을 맞춰라. 
이름을 기억하고, 반복해서 상대의 이름을 불러라. (절대 이름을 변형하거나 마음대로 줄이지 마라) 

파티나 모임에서 접근하기 쉬운 사람을 찾아라. 당신과 눈을 맞추는 사람,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사람, 신문을 보거나 컴퓨터를 하는 등 다른 짓을 하고 있는 사람, 등. 
말을 걸고 싶은 사람의 대화 상대에게 잠깐 실례하겠다고 하면 아마 대부분 끼어들기를 허용할 것이다. 

상대의 말에 진심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귀 기울여 듣고 기꺼이 반응해라. 
당신이 주의를 기울여 듣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는 사람에게 알려주는 가장 쉬운 피드백은 시각적 신호다. 얼굴 표정과 고객 끄덕임과 긍정적인 몸짓 등으로 상대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있다는 것을 표현한다. 
경청은 귀로 듣는 것 이상이다. 그저 대화 내용을 알아듣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더 깊이 진지하게 집중하는 단계까지 가야 한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하려면 무엇보다 눈을 맞추는 일이 중요하다. 두리번거리지 말고 대화에 집중하라.

지금 듣고 있는 내용을 누군가에게 이야기해 주겠다고 마음 먹어라. 그러면 더 열심히 듣게 된다. 
남의 말을 건성으로 듣는 건 관계를 악화시키는 지름길이다. 

가끔 만나는 사람에게 적절한 질문 
* 지난 번 그 일은 어떻게 되었어요? 
* 작년에 만난 뒤로 달라진 게 있나요? 
* 지난 1년 동안 어떻게 지냈어요? 

과대포장으로 대화를 주도하고 있는 사람을 만났을 때는 대화의 주제를 변경하라. 
대화 중에 누군가 끼어들면 당당하게 밀어내라. 
모임에서 대화의 독점자가 있을 때 발언권을 빼앗고 다른 사람을 대화에 참여시켜라. 

자리를 떠날 때 상대에게 말한 목적을 반드시 실행하라. 그렇지 않으면 자기와의 대화가 싫어서 피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대화를 마무리할때도, 처음 만날 때처럼 미소 띤 얼굴로 악수하며 대화를 시작하는 것처럼 해야한다. 
어떤 행사에 참석하든 최소한 3가지 주제를 쉽게 풀어갈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는 습관을 길러라. 
내가 말하는 것 이상으로 상대에게 말할 기회를 줘라. 

스몰토크로 시작해서 스몰토크로 끝내라. 
사람들은 자신에게 잘해주고 신경 써준 사람한테는 좀 억울한 일이 생겨도 고소하지 않는다. 
누구를 만나든 반갑게 인사하고, 눈을 맞추고, 미소를 지어라.